•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신이 갑상선기능항진증에 미치는 영향 2020-11-10

https://blog.naver.com/gogngs/222140516976

 

 

임신이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은 임신 시기에 따라 다르다.

임신 초기에는 TSH  수용체 항체 역가의 증가 또는 hCG  의 영향에 의해 갑상선중독증의 증상이 악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임신 초기의 구토 때문에 항갑상선제 복용이 불규칙하거나 흡수가 잘 안되어 기존의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임신 중기 이후부터 말기에 걸쳐 갑상선기능항진증 자체가 호전된다.

이는 모체의 면역 활성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임신중에 모체의 면역계가 억제되는 이유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출산 후에는 임신 중에 억제되었던 면역계가 다시 활성화되면서 그 반동으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임신이 진행하면서 TSAb 역가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반면 , TBAb 역가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신기간동안 유리T4 와 TBAb 역가 사이에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출산 후 재발하는 경우 TSAb가 증가하고 TBAb역가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임신 중 그레이브스병이 관해 상태에 도달하는 것은 TSH 수용체 항체의 기능 변화 , 즉 자극항체가 차단항체로 변화하는 점과 관련될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