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초음파 2021-05-25

https://blog.naver.com/gogngs/222366037530 

 

 

 

장점 :

방사선 조사의 위험이 없다

검사 중에 환자의 불편함이 없다.

30세 미만의 젊은 여성 ,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에서 유방검사가 필요한 경우 유방초음파가 일차적 검사 방법이다.

유방촬영술과 함께 사용될 경우 특히 젊은 여성에서 유방암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환자와 직접 접촉 , 실시간 검사 , 단층 영상으로 겹침이 없어 서로 다른 에코를 가진 정상 및 이상 구조물을 구분할 수 있다.

유방촬영술에서 포함시키기 힘든 변연부나 액와부 및 깊은 곳에 위치한 병변의 평가와 조직검사유도에 유용하다.

또한 압박이나 도플러 검사 등을 통해 생리적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단점 :

의사가 직접 검사를 수행하며 판돈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걸린다.

검사의 정확도는 검사기기 및 검사자의 질에 전적으로 좌우된다.

유방초음파의 장비

유방초음파 기기의 탐촉자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위해 특별히 고안된 전자식 초점 형성의 선형 탐촉자를 사용한다.

탐촉자의 중심 주파수는 10~13MHz 이상 , 영상영역 4cm 이상 , 투과 깊이 4cm 이상이어야 하고 국소 초점영역 선택이 가능해야 한다.

유방초음파 기법

ㄱ. 검사 전 준비

검사자는 환자의 임상증세와 이전에 실시한 유방촬영술이나 초음파검사 결과 , 유방암의 가족력 , 조직검사나 수술여부 등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탐촉자 표면과 유방조직이 평행을 이루게 하여 초음파의 투과를 개선시키고 굴절로 인한 음영이 감소한다.

환자의 자세는 양팔은 머리 위로 올린 채 , 내측 유바을 검사할 때는 똑바로 누운 자세, 외측 유방을 검사할 때는 검사하는 쪽 등 위에 베게 등을 받친 자세로 한다.

ㄴ. 게인 , 시간게인 보상 및 초점 조절

지방은 회색 , 섬유유선 조직은 흰색으로 보이도록 전체적인 게인을 조정한다.

깊이가 다르더라도 같은 굴절율의 구조물이 같은 밝기를 보이도록 구조물 깊이에 비례하는 시간게인 보장을 한다

초점 조절을 적절히 해야 탐촉자에 가까운 표층 구조물을 용적 평균화 효과 없이 고해상도로 볼 수 있다.

ㄷ. 압박

탐촉자에 적당량의 압박을 가해야 한다

너무 세게 압박하면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를 변형시키며 오히려 유방 조직을 밀어내게 되어 병소를 놓칠 수 있다.

깊숙한 위치의 병변을 보거나 쿠퍼인대의 비슴듬한 면에서 생기는 그림자 허상을 없애기 위해서는 탐촉자로 유방에 다양한 각도의 압박을 가하거나 입사 각도를 바꿔가며 주사하여야 한다.

유두와 유룬 아래의 유관을 검사할 때에는 탐촉자로 유두와 유룬을 옆으로 비스듬히 밀면서 보아야 한다.

ㄹ. 스캔 방향

적어도 두 방향 이상으로 중복 스캔 해야한다.

특히 유방 주변부를 빠뜨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종-횡단 스캔과 방사-역방사 스캔의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방사 - 역방사 스캔 :

유두와 유룬을 중심으로 수레 바퀴 모야으로 주위로 뻗어나가는 유관의 분포에 따라 스캔하므로 유관과 병변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좋으나 유방 전체를 검사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종 - 횡단 스캔 :

유관의 해부학적 방향과 맞지 않은 단저이 있으나 빨리 볼 수 있다.

ㅁ. 영상의 기록

환자의 이름, 병록번호, 나이와 생년월일을 기입해야 한다

병변의 영상 기록은 최소한 두 방향 이상에서 스캔하여 남겨야 한다

병변의 크기를 재는 눈금을 포함하지 않는 영상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한다.

병변의 가장 긴 직경을 포함하여 세 방향에서 측정한 직경과 좌-우, 사분면, 시계방향, 유두로부터의 거리, 깊이 등의 위치를 기록해야 하며 탐촉자의 주사방향도 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