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의 TNM 분류에 따른 병기 2018-12-12

https://blog.naver.com/gogngs/221412321910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유방암의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 on cancer )의 TNM 분류에 따른 병기를 사용한다. 
 

1. T


T는 유방암의 크기에 따라 구분된다. 

TX:  종양의 크기 측정이 불가능함 
T0: 종양이 없음. 
Tis: 상피내암
Tis(DCIS) : 관상피내암
Tis(LCIS) : 소엽상피내암
(Paget's)Tis : 유두의 파젯씨 병으로 침윤성 유방암과 상피내암과 연관이 없는 경우, 만약 연관이 있는 경우는 해당 종양의 크기와 특성에 따른다. 


T1 : 암의 크기가 2cm  이하, ≤2 cm
Tmic - 암직경 ≤0.1cm
T1a – 암 크기  >1 mm but ≤5 mm 
T1b – 암 크기  >5 mm but ≤10 mm 
T1c – 암 크기  >10 mm but ≤20 mm 


T2 : 암크기 >2cm to ≤5cm.


T3:   암크기 >5cm


T4:      암의 크기와 상관없이 흉벽이나 유방피부를 침범한 경우 
T4a – 암이 흉벽을 침범한경우
T4b – 염증성 유방암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피부에 부종 혹은 궤양 또는 독립된 결절이 있는 경우 
T4c –  T4a 와 T4b 가 동시에 있는 경우 
T4d  염증성 유방암

 

2. N

림프절의 분류는 림프절의 평가가 임상적으로 되었는지 병리적으로 되었는지에 따라 다르다. 
두가지를 구분하기위해  임상적인 평가는 cN 으로 , 병리적인 평가는 pN 으로 표기한다. 
병리적인 분류가 임상적인 것보다 더 선호된다. 

임상적인 병기는 수술전 여러가지 영상검사와 이학적 검사를 바탕으로  결정된다. 병리학적인 병기는 수술후 병리과 선생님들에 의해 행해진다. 

국소림프절은 겨드랑이 림프절 , 동측의 intra-mammary nodes, internal mammary nodes, supraclavicular nodes 이다. 

경부 림프절이나 반대측 겨드랑이 림프절에 암세포가 전이된경우  전이(M1) 으로 분류한다. 

 

cN  - 국소림프절의 임상적인 분류


cNX:   국소림프절 평가가 가능하지 않다. (이전에 제거된경우) 
cN0:    
국소림프절 전이가 없다. 
cN1:    동측의 겨드랑이 림프절 level I 과 II 에 전이가 있고 , 움직인다. 
           cN1mi - 미세전이, 암세포가 약 200개 이상혹은 크기가 0.2mm  보다 크지만 2.0mm 보다 크지는 않음
cN2:    
            cN2a - 
동측의 겨드랑이 림프절 level I 과 II 에 임상적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 엉겨붙어 있는 림프절 전이가 있음
            cN2b - 겨드랑이 림프절에는 임상적으로 전이가 없고 동측의 internal mammary nodes에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cN3:  level I 과  level II  림프절 전이 여부와 관계 없이 동측의 infracalvicular (level III ) 림프절전이 가 있는경우 
          겨드랑이 림프절 전이가 있으면서 동측의  internal mammary node 전이가 있는경우 
           겨드랑이와 internal mammary node 전이 여부와 관계 없이 동측의 supraclavicular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cN3a - 동측의 infracalvicular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cN3b - 동측의 internal mammary 림프절과 겨드랑이 림프절에 동시에 전이가 있는경우 
            cN3c -  동측의  supraclavicular 림프절 전이가 있는경우 
** cN1mi 는 원발암 수술전 , 대부분 neoadjuvant 치료하는경우  감시림프절 절제술이 행해전 경우에 사용된다. 

 

pN - 국소림프절의 병리학적인 분류

pNx :   국소림프절을 평가할수 없다. (이전에 제거된경우등) 
pNO:  조직학적으로 국소림프절 전이가 없음. 
       pNO(i-):   조직학적으로 국소림프절 전이 없음. IHC(면역조직화학염색) 도 음성  
       pN0(i+):   0.2mm 보다 크지 않은 암세포들이 H&E or IHC 에서 발견됨. 
       pNO(mol-):  조직학적으로 국소림프절 전이 없음, RT-PCR 이나 IHC 에서도 검출 안됨. 
       pNO (mol+):  RT-PCR 에서는  암세포 검출되지만 조직학이나 IHC 에서는 검출안됨.  

pN1:    Micro-metastases,나  1-3 개의 액와림프절전이 또는 임상적으로는 없지만 SLN(감시림프절) 조직검사상 검출된 internal                 mammary nodes 전이 
        pN1mi: Micro-metastases (암세포가 200 개 이상이고 크기가 0.2mm 이상이지만 2mm 는 넘지 않는 경우 
        pN1a:   1~3 개의 액와림프절 전이로 최소한 한개의 림프절전이의 크기가 2mm 이상
        pN1b:    임상적으로는 검출되지 않는 internal mammary nodes 전이 
        pN1c:     pN1a 와  pN1b  가 결합된경우 

pN2:  4~9개의 액와림프절 전이 ,  또는 액와림프절전이는 없이  임상적으로 internal mammary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pN2a: 4~9 개의 액와림프절 전이  (최소한 한개 이상에서 2.0mm 보다 커야한다.).
         pN2b:  액와림프절전이가 없고 임상적으로 internal mammary 림프절전이가 있는경우 

pN3:  10개 이상의 액와림프절 전이 
           infraclavicular (Level III axillary)림프절전이   
           영상에서 Level I, II axillary 부위에 한개이상의 림프절전이가  있으면서 동측의 internal mammary 림프절이 양성인경우 
           3개 이상의 액와림프절양성 + 임상적으로는 없으나 감시림프절 생검에서 internal mammary 림프절 양성
           동측의 
  supraclavicular 림프절 양성 
        pN3a : 10개 이상의 액와림프절 전이 (  최소한 한개는 2.0mm 이상일것)  또는 infraclavicular (Level III axillary)림프절전이  
        pN3b :  cN2b(영상에서 internal mammary nodes양성) 가 있는 상태에서 pN1a   나 pN2a
                      pN1b 상태 + pN2b
        pN3c :  동측의 supraclavicular 림프절 양성 


**isolated tumor cell clusters (ITC) ; 크기가 0.2mm 보다 크지 않다. 


3. M

유방암이 타장기및 조직으로  전이한경우 

MX:    암의 전이여부를 알기에는 정보가 불충분 하다. 
M0:     
이가 없음
cMO(i+): 임상적으로나 영상학적으로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으나, 세포단위에서 암세포의 전이가 있는경우 단 크기가 0.2mm이하이다. 
M1:     원격 전이가 있음. 

 

4. TNM 병기 요약


병기는 0 ~ IV(4기) 까지 크게 나눌수 있다.  각병기마다 세부로 나눠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