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침윤암 병리 보고서 2022-02-04

https://blog.naver.com/gogngs/222638690490 

 

침윤암에 대한 최종 병리 보고서에는 진단과 더불어 환자의 병기 및 치료 방향 설정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야 한다.

모든 침윤암 병리 보고서에는 공통적으로

검체인식을 위한 정보 (유방 검체의 유형, 좌우구분 , 림프절검사유형, 및 종양위치) ,

침윤암의 크기,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등급,

림프혈관 침윤 여부 ,

관상피내암종 동반 여부 및 크기 ,

절제연,

림프절 상태 ( 림프절 절제 시 ) 를 포함하여야 한다.

병리보고는 AJCC Cancer Staging Mannual , 7th edition 에 있는 TNM 병기 체계에 따라 보고한다.

유방촬영술에서 발견된 석회화 병소 절제를 위하여 절제된 유방 검체의 경우 석회화의 유무 및 위치를 기술한다.

필요 시 검체 유방촬영술을 진행하여 석회화 부위를 확인한다.

호르몬수용체나 HER2 와 같은 유방암 치료에 중요한 보조적 검사가 진행되고 있을 때는 반드시 최종 보고서에 이들 결과를 포함한다.

1) 침윤암의 크기

침윤암의 크기는 중요한 예후 인자이다.

육안검사 , 현미경검사, 필요시 영상검사 소견을 모두 고려하여 mm단위로 기록한다.

다수의 침윤암이 존재한다면 가장 큰 침윤암의 크기를 기록한다.

중심침생검, 절제생검, 동결절편검사등의 이전 조직검사에서 관찰되는 침윤암의 크기가 최종 수술검체의 잔여 침윤암의 크기보다 클 경우 이전 조직검사에서 관찰되는 침윤암의 크기를 T 병기 판정에 사용하고 , 이 과정을 보고서에 기록한다.

미세침윤이란 ?

기저막을 종양세포가 통과하였음을 의미하며, 침윤 병소의 크기가 장경 1mm 이하인 경우로 정의한다.

미세침윤이 여러 곳에서 관찰되어도 각각의 병소의 크기를 합치지 않으며,

침윤병소의 개수를 세어 보고서에 기록한다.

침윤병소가 너무 많아 세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그 사실을 기록한다.

2) 침윤암의 조직학적 유형 및 등급

Nottingham 등급 체계 를 사용한다

이 등급 체계는 관/선 형성정도,

핵의 다형성 정도,

유사분열 개수를 점수화 하여 1등급( 고분화) , 2등급 ( 중등도 분화), 3등급 (저분화)으로 분류한다.

3) 절제연

절제연 양성이란 ?

잉크를 칠한 절제면이 종양에 노출된 경우로 정의한다.

검체는 가능하다면 수술용 실이나 클립을 사용하여 방향성을 확보하도록 하며,

방향성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절제연 양성 부위를 기록하여야 한다.

절제연 양성의 경우 그 정도를 기록하는 것이 좋다.

한부위에서 4mm 미만의 국소적 절제연 양성의 경우 초점성 (focal)

두 군데 이상의 부위에서 국소적 절제연 양성의 경우 최소/중등도 ,

5mm 이상의 넓은 부위에 걸친 절제연 양성의 경우 광범위 양성으로 구분한다.

4) 림프혈관 침윤

림프관을 혈관과 구별할 필요는 없다

진피 림프혈관 침윤이 있을 경우 추가적으로 보고서에 기록한다.

5) 림프절 전이

림프절 유형은 감시림프절 , 액와림프절, 유방내(intramammary)림프절, 내유방림프절, 쇄골상부림프절, 쇄골하부림프절이 있다.

감시림프절은 수술 중 평가법으로는 imprint cystology , 동결절편검사 및 급속 cytokeratin 면역조직화학염색법 등이 있다.

수술중 imprint cytology 는 림프절 조직 손상이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나 병리의의 숙련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감시림프절 동결절편검사법은 현재 표준화 되어 있지 않으며 보고자에 따라 다르지만 10% 이상 의 위음성율이 보고되어 있다.

유방내 림프절은 유방조직 내에 있으며 ,

흔히 외상방에서 관찰된다.

유방내림프절이 감시림프절일 경우는 드물다.

유방내림프절은 AJCC N분류에 따르면 액와림프절에 포함시킨다.

내유방림프절 , 쇄골상부림프절 및 쇄골하부 림프절에 전이가 관찰될 대는 특정 N 병기에 해당하게 된다.

림프절 전이 종양의 크기는 서로 연속적인 종양세포의 그룹의 가장 긴 길이를 측정한다

그 전이 병소의 크기에 따라 거대전이림프절 (>2mm), 미세전이림프절 ( >0.2mm~2mm 또는 전이종양세포 >200 개) 과 격리조양세포양성림프절( ≤0.2mm 이고 전이종양세포 ≤200개)로 구별한다.

격리종양세포양성림프절은 N 병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