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중요한 생물학적 표지자 2022-02-08

https://blog.naver.com/gogngs/222642084758 

 

 

 

모든 원발 침윤성 유방암 및 재발암 또는 전이암에서 호르몬 수용체 및 HER2 검사가 권장된다.

유방 침생검 조직에서 호르몬수용체 및 HER2 검사가 음성이거나 검사 결과가 유방암의 조직학적 소견에서 예상되는 결과와 불일치 할 경우

수술 검체 에서 재검사하여 볼 수 있다.

다수의 침윤암이 있을 경우에는 생물학적 표지자 검사는

침윤암의 크기, 조직학적 유형, 조직학적 등급과 마찬가지로

가장 큰 침윤암에서 판돈되어야 한다.

만약 더 작은 크기의 침윤암이 조직학적 유형이나 조직학적 등급이 다를 경우

호르몬수용체 및 HER2 검사를 부가적으로 진행하도록 권장된다.

유방 검체는 현미경진단 , 면역조직화학검사 및 분자검사에 적합하도록 표준화된 지침에 따라 다루어져야 한다.

특히 검체 적출시간부터 포르말린 고정까지 소요 시간인 cold ischemic time , 고정시간 , 고정액의 종류, 내부 양성 대조군( 정상 유방조직) 유무 , 외부 대조군 유무, 검체는 검사에 적당한가, 일차 항체의 종류 등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보고서에 기록하거나 검사실 관리 대상에 포함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1) 호르몬수용체

에스트로겐수용체 (ER )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PR) 면역조직화학염색의 면역조직화학염색의 판독 기준은 종양세포 핵의 1% 이상 염색되면 양성으로 판독한다

음성/양성으로 보고한다

양성일 경우 종양 세포 핵에 염색된 핵양성율을 퍼센트로 기술하거나 양성 구간 ( 가령 , 1~10%, 11~20%등)으로 발현 정도를 부가 기술한다.

음성일 경우 , 내부 양성 대조군 유무와 양성대조군이 있을 경우 정상적으로 발현되었는지를 기술한다.

결과 판정이 불가한 경우에는 이를 보고하고 , 그 사유를 기술하여야 하며 가능하다면 다른 블록이나 다른 검체에서 재검사를 진행하도록 한다.

2) HER2

0 ( 완전 음성 염색 또는 불완적 , 거의 인지 되지 않는 막염색이 침윤암 세포 ≤10%) , 또는 1+ (불완전 , 거의 인지 되지 않는 막염색이 침윤암 세포 ≥10%) 인 경우 음성으로 판정

2+(불완전 하거나 또는 약하거나 중등도의 완전한 막성 염색 침윤암세포 〉10% 또는 완전하고 강염색성을 띄는 구형의 막성 염색이 침윤암 세포 ≤10%)는 확실치 않음

3+(완전하고 강염색성을 띄는 구형의 막성 염색이 침윤암 세포 〉10%) 일 경우 양성으로 판정한다.

결과 판정이 불가한 경우에는 이를 보고하고 , 그 사유를 기술한다.

HER2 면역조직화학 염색2+ 일 경우 제자리부합법으로 유전자 증폭 여부를 조사한다.

HER2 제자리 부합법은 형광제자리 부합법(FISH), 은제자리부합법(SISH), 발색제자리부합법(CISH)이 시행되고 있다.

음성, 양성 , 확실치 않음 으로 판독한다.

이중탐색자를 사용한 검사법의 경우 , 신호 계측한 총 종양세포의 수 , 세포당 HER2 신호의 평균값, 세포당 CEP17 신호의 평균값 및 HER2/CEP17 비를 부가 기술 한다.

단일 탐색자의 경우 신호 계측한 총 종양세포의 수와 세포당 HER2 신호의 평균값을 기술한다.

판정이 불가한 경우에는 이를 복하고 그사유를 기술한다.

만약 유방 침생검 조직에서 시행한 HER2 검사에서 음성이지만 조직학적으로 고등급 암종이거나 , 침윤암 부위가 소량 포함된 경우, 생검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고등급 암종이 절제검체에 포함되어 있을 때, 면역 조직화학 검사 및 제자리검사법 모두 확실치 않은 결과를 보인경우 , 또는 병리의사의 소견 상 조직 취급이나 검사 과정의 오류로 인한 위음성이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에는 절제된 조직에서 HER2 재검사를 진행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