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과 면역반응-종양침윤림프구 2023-02-21

https://blog.naver.com/gogngs/223023179739 

 

 

면역계와 유방암 세포와의 상호 작용은 유방암 아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HER2 아형과 삼중음성 아형은 여성호르몬 수용체 양성 아형에 비해 유전학적 불안정성이 높고 , 이로 인해 DNA 손상과 돌연변이 부담이 높아 더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양침윤림프구( tumor infiltrating lymphocyte;TIL)의 특징은 HLA-DR 양성 표현형의 CD4 효과세포들이 우세하고 실험실 연구에서도 세포용해기능을 가진 CD4 효과세포들이 우세하다는 것이 알려졌다.

유방암 환자에서 mitogen 자극으로 인한 증식지수는 TIL보다 말초혈액과 림프절 림프구가 더 높지만, TIL은 mitogen 자극에 의해 IL-2, IFN-감마 분비는 적게 하지만 IL-2와 TNF는 높게 분비한다.

유방암으로부터 유래된 TIL의 대부분이 CD4 표현형보다는 CD8 표현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 하고 있다.

TIL과 종양상태의 관계는 아직 정립되지 않았지만, 종양의 ER과 역상관 관계가 있다.

TIL중 활성화된 T림프구는 높은 친화성 IL-2수용체와 HLA-DR항원을 발현하며, 활성화된 TIL은 CD4+보다 CD8+세포가 많다.

유방암 생검을 통해 분리한 T림프구 클론의 대부분은 CD4 표현형을 가지고 있으나 암세포에 대한 도움기능과 세포살해 특이성은 보여주지 못했다.

다른 연구에서 유방암으로부터 유래된 세포독성 T림프구 클론에 대해 보고했는데, 이는 기능적으로 특이적인 세포독성 T 림프구 클론반응이 유방암환자에게 존재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최근 연구에서 종양침윤림프구가 HER2 아형과 삼중음성암에서 유의미한 예후 인자로 알려졌다.

BIG 02-98 연구에서는 , AC 보조요법으로 치료한 삼중음성 유방암 환자에서 기질 침윤림프구가 예후 인자로 확인되어 , 림프구 10% 증가에 따라 재발 가능성이 14%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또, 수술 전 항암요법을 받은 환자에서도 기질 침윤 림프구가 병리학적 완전관해에 대한 예측인자임이 보고되었는데, GeparSixto 연구에서는 림프구 수 10% 증가에 따라 삼중 음성암과 HER2 아형에서 각각 객관적 반응율이 15%와 30%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