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수유 2021-04-06

https://blog.naver.com/gogngs/222300498826

 

 

 

분만 이후 태반유선자극호르몬 과 성호르몬의 분비가 즉시 중지된다.

이와 함께 황체의 성호르몬의 분비도 감소하여 분만 후 5일경에 최저 상태에 이른다.

이 때 , 시상하부에서의 프로락틴 분비 억제 인자의 분비도 감소되면서

뇌하수체에서 프로락틴의 분비가 증가된다.

프로락틴의 분비는 임신 전 10ng /ml 에서 분만 직전 200ng /ml 정도까지 증가하였다가 분만과 함께 감소하지만 아이의 젖을 빠는 행위에 의해 다시 상승한다.

프로락틴은 성장호르몬 , 인슐린, 부신 피질 호르몬의 영향하에서 유선의 상피세포를 분비 전 상태에서 분비 가능 상태로 변화시킨다.

첫 분비물을 초유라 한다

초유에는 락토글로불린이 포함되어 있는데 혈액 내의 면역 글로불린 같은 것이지만 기능적 중요성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초유에 들어 있는 지방산, 인지질 , 지용성 비타민, 락트알부민 등은 중용한 영양소들이다

초유 이후에는 이행유가 나오고 , 그 후 성숙유가 나오게 된다.

(1) 유즙의 생성과 분비

유즙이 생성되는 동안 유선 상피세포는 원주형에서 정육면체형으로 조직학적 형태 변화가 일어난다.

지방의 분비는 유선 상피세포의 일부가 탈락이 되는 과정이다.

세포 내에서 지방공포가 만들어져 세포의 말단부로 이동하고 동시에 핵도 말단부로 이동한 후 지방공포들은 세포질의 일부를 포함한 상태로 세포막에 싸여 세포에서 빠져 나온다.

프로락틴은 젖당 합성효소를 자극하여 골지체에서 젖당의 합성을 촉진시키며 리보핵산 합성 효소를 통해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cAMP 에 유도된 단백질 활성 효소를 통해 유즙 단백질을 인산화한다.

지방과 단백질은 주로 아포크린 기전을 통해 분비가 되며 젖당은 부분분비기전을 통하여 분비된다.

이온들은 확산과 능동적 운반을 통해 유즙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분비와 계속된 관 내 희석을 통해 유즙이 형성되며 유즙 내에는 카제인, 락트알부민, 락토클로불린 등의 단백질과 지방이 젗당-미네랄 용액에 부유하고 있다.

유즙이 흰색을 띠는 것은 유화된 지질과 카제인염 떄문이며 유지방이 노란색을 때는 것은 카로티노이드 때문이다.

(2) 유즙 배출 기전

유즙의 배출은 젖을 빠는 행위를 통해 일어나지만 능동적 배출의 기전이 함께 작용한다.

유두-유룬 복합체의 감각신경이 촉각 자극으로 활성화되고

이러한 자극은 후각 신경근을 통해 척수로 들어가서 척수시상로를 경유하여 중뇌와 바깥 시상하부로 전달된다.

프로락틴 분비 억제 인자의 분비가 억제되면 뇌하수체 전엽에서 다량의 프로락틴이 분비된다.

동시에 다른 경로를 통해 뇌실 곁핵에서 옥시토신이 생성되고 뇌하수체 후엽의 신경 소낭을 통해 분비된다.

체순환계로 들어온 옥시토신은 근육상피세포를 수축시켜 유즙을 유선포로부터 유즙관과 유선관 팽대부로 배출시킨다.

옥시토신의 혈중 농도가 최고치에 도달 할 때 유관 내압은 20~25mmHG 에 이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