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 자가면역 항체 2019-03-29

https://blog.naver.com/gogngs/221500435418

 

 

 

갑상선자극면역글로불린

(Thyroid stimulating immunoglobulin, TSI)

1. 검사 목적

① 그레이브스병의 선별검사

② 그레이브스병의 투약 중지시기 결정

③ 신생아의 일과성 갑상선기능이상증의 예측

④ 갑상선 기능이 정상인 그레이브스성 안병증의 진단

2. 검사 방법

신선한 갑상선 조직을 환자 혈청 IgG와 2시간 배양후 형성된 cAMP를 RIA로 측정한다.

3. 판정 기준

그레이브병에서 대조 혈청보다 cAMP 형성이 600~6,000% 증가한다.

4. 참고사항

실험방법이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검사실 사이에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임상

적 유용성이 없다. 현재 재현성이 높고, 검사가 용이한 TSH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TBII)

검사를 이용하고 있다.

TSH 결합억제 면역글로불린

(TSH binding inhibitor immunoglobulin, TBII)

1. 검사 목적

① 그레이브스병의 선별검사

② 그레이브스병의 투약 중지시기 결정

③ 특발성 점액수종의 진단

④ 신생아의 일과성 갑상선 기능이상증의 예측

2. 검사 방법

돼지의 갑상선막 분획에 125I-TSH 결합 억제 활성을 측정하는 방사수용체 분석법

(radioreceptor assay)이며, 자극항체와 억제항체가 모두 반영된다.

3. 판정기준

▶ 참고치

10% 이하(Baxter, RRA)

▶ 이상치의 해석

증 가

    그레이브스병

    Euthyroid Graves' disease

    특발성 점액수종

    하시모토병의 일부

    아급성 갑상선염의 회복기

저 하

    항TSH 항체의 존재

▶ 검체의 채취와 취급

혈청, 수시 채혈에 안정.

▶ 측정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없음.

4. 참고사항

① 그레이브스병은 TSH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호르몬의 과잉분비를

일으키는 질환이며, 치료하지 않은 그레이브스병의 90%에서 이 항체가 양성이고, 약물치료 후

지속적으로 양성인 경우 치료를 중지하면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② TSH 수용체 항체에는 TSH과 동일하게 수용체에 결합하여 갑상선을 자극시켜 호르몬을 과잉

분비시키는 항체(TsAb)와 TSH 수용체에 결합하여 TSH 작용을 억제하여 갑상선기능저하증을

일으키는 항체(TsBAb)의 2종이 있다. 후자는 특발성 점액수종의 원인이 된다.

③ TSH 수용체 항체는 태반을 통과하므로 TsAb 활성이 높은 임산부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일시적

인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일으킬 수 있다. TsBAb를 가진 임산부의 신생아는 일시적인 갑상선기

능저하증이 일어날 수 있다.

④ 혈청에 TSH에 대한 항체가 존재하면 TBII가 10% 이하로 저하되며, 그레이브스병에서 TBII가

높지 않으면 이러한 항체의 존재를 고려한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