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그레이브스병 치료 - 방사성요오드요법 2 2019-08-02

https://blog.naver.com/gogngs/221603238924

 

 

3. 치료 효과 및 경과

방사성 요오드 투여후 2주경부터 혈청 T4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증상 호전 - 투여 후 2~4 주경에 시작됨

최대 효과 - 2 개월 후에 최대

적정량 투여시 50~70% 의 환자가 6~8주 안에 정상 기능으로 회복된다.  하지만 이후에도 상당 기간 6개월 내지 1년에 걸쳐 서서히 갑상선 기능이 회복되는 경우도 있어서 재치료는 가능한 한 6개월 이후에 하는 것이 좋다.

치료시작 6~8주 후에 갑상선종의 위축이 눈에  띠게 나타난다.

치료효과는 전적으로 투여량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1회 투여로 전체 환자의 약 75% 가 완치되며, 약 10~20% 의 환자는 2회 투여를 필요로하며 드물게 3회 이상 투여해야 완치되는 경우도 있다.

방사성요오드 투여후 3~10일경  일시적으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더 악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 급격한 갑상선 세포의 파괴로 저장되어 있던 호르몬이 일시에 누출되기 때문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회복 된다.

일부 환자는치료 2~3 개월 후에 유리 T4 와 T3  의 증가가 나타나고 갑상선종이 커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방사능에 대한 갑상선의 염증 반응의 결과로 해석되며, 치료 4~5개월에 다시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변화 한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후 병발하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혈청 T4 의 감소와 TSH  의 증가로 나타난다.

일부환자에서는 저하증이 갑자기 나타나는데 심한 근육통과 관절의 경직을 호소하고, 두통을 동반 할 수 있다.

두통은 갑상선 기능저하로 인해 뇌하수체가 갑자기 커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시기에 탈모가 심하게 나타난다.

중증 갑상선 기능 항진증 환자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할 경우 항갑상선제 보조요법이  도움이 된다.

1~2개월 동안 항갑상선제로 치료해서 갑상선 기능을 호전시킨 후에 I-131을 투여한다.

I-131  투여 후 치료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프로프라노롤을 투여하여 증상을 호전 시킬 필요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 항갑상선제나 무기요오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방사성요오드 투여 4~7 일전에 항갑상선제를 중단하고 7일  후에 재 투여 한다.

방사성 요오드 투여시 안병증이 악화 되거나 발생하는데 대부분 경미하고 치료 후 3개월 이내에 회복되는 일시적인 현상이다.

하지만 치료전 안병증이 심한 경우는 프레드니솔론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