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종양에 대한 면역학적 관용 2023-02-10

https://blog.naver.com/gogngs/223011436271 

 

 

대부분의 암 환자에서 항종양 면역반응의 명확한 증거가 있지만, 항종양 반응이 효과적이지 않은 이유는 면역학적 측면에서도 항암면역 반응에 대한 관용기전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조절 T 세포 , 골수유래억제세포, 형질세포양 가지 세포 같은 면역 저하 상태를 유도하는 면역세포들이 암 주변에 동원되거나 증가되어 면역학적 회피를 조장하는 것이다.

CD4, CD25, Foxp3를 발현하는 것으로 알려진 조절 T 세포는 정상 상태에서는 면역학적 말초 관용 유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나 , 암 환자에서는 종양 부위에 밀집되어 항종양 면역 반응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기전으로는, 조절 T 세포에 의한 IL-10, TGF-beta분비, CTLA-4, PD-L1 등의 발현 및 IL-2 소모 등에 의한 세포독성 T세포의 기능 저해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절 T 세포는 종양세포에 의해 분비된 TGF-beta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으며, 이들 세포를 제거하기 위한 치료법들이 종양의 면역학적 제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이 동물 실험에서 증명된 바 있다.

이러한 조절 기능을 가진 면역세포는 NK세포나 B세포 중에도 일부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MDCS는 골수 유래 전구세포 및 미성숙 골수세포로 이루어진 다양한 세포들의 집합체로 , 종양세포주변에 밀집되어서 림프구의 기능 및 작용을 저해한다.

즉 TGF-beta를 분비하거나 , 림프구 대사에 필수적인 아미노산 공급을 저해하거나, 조절 T세포를 유도하는 등의 기전을 통해 항종양면역 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lasmacytoid DC는 종양에 침윤하여 IL-10을 분비하는 CD8+ 조절 T세포를 유도하며 , IL-4나 IL-13에 의해 증가된 종양관련 대식세포는 IL-10, TGF-beta 를 분비함으로써 신생혈관 생성이나 간질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면역학적 관용 기전은 모두 종양미세환경의 변화에 의해 유도되는 것으로, 이들 면역억제 기전과 항종양 면역기전간의 균형에 따라 종양세포의 면역회피와 암의 진행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