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기능 저하증 임상증상 2 - 2 2019-11-01

https://blog.naver.com/gogngs/221695199922

 

 

마. 죽상경화증과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죽상경화증이 서로 관련 되어 있다.

ㄱ.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죽상경화증의 관계

부검으로 조사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죽상경화증의 정도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이 더 심하게 나타난다.

생존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증례 - 대조 연구에서도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죽상경화증 사이에 상관관계를 보인다.

한편 코호트 연구 결과는 상반되게 나타난다. 즉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허혈성 심질환의 병력 또는 심전도의 주요 변화와 무증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사이에는 관련이 없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 중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T4 치료에 대해서 충분한 양의 투여를 주저하는 점을 고려할때 의사들의 T4  처방에 대한 양상이 분석될 때까지는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죽상경화증의 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확실한 결론을 내릴 수 없다.

ㄴ. 갑상선 기능 저하증과 심맥관질환 위험인자와의 관계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기존의 심맥관질환 위험인자를 변화시킨다는 여러 증거들이 제시 되고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LDL - cholesterol 을 증가시키고 , 확장기 고혈압을 유도하며, 혈액 응고 성상을 변화시키며, 혈관 평활근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 심맥관계 위험을 높인다.  또한 흡연 및 인슐린 내성과 관련해서 심맥관질환의 위험을 증폭시킬 수 있다는 증거도 제시되고 있다.

T4 치료는 총 콜레스테롤 농도를 감소 시킨다.

총 콜레스테롤 농도의 감소는 T4  치료 전 혈청 TSH 가 높을수록, 치료 전 지질 농도가 높을수록 현저하다.

전체적으로  LDL -콜레스테롤의 평균 감소는 10mg/dl 정도이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죽상경화증을 촉진하는 지단백의 정성적 변화를 초래한다.

LDL은 산화에 더 예민하며, 이는 갑상선 기능이 정상으로 회복되면 정상화 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서 죽상경화증 위험과 역비례 관계에 있는 혈청 HDL - 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소한다.  이외에도 chylomicron remnant  청소률감소 , cholesteryl ester transfer protein 의 활성감소 , heparic lipase 활성 감소 및 지질단백의 활성 감소를 통해서 죽상경화증 유발에 관여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확장기 고혈압을 일으켜서 심맥관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흡연과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심맥관질환 위험에 상승 효과가 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 환자에서 흡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총 및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더 높고,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더 심하며, creatine kinase 농도가 더 높다.

최근 새로운 위험인자로 혈청 homocysteine 증가 , C-reactive protein 증가 , 혈액응고 이상 , 내피세포 기능 장애 및 인슐린 내성 등이 확인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