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의 발생과 사망 양상 2022-07-13

https://blog.naver.com/gogngs/222809674579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질환으로 전체 여성암의 25.2%를 차지하는 여성암의 1위의 질환이다.

1) 발생률

유방암은 우리나라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 중 갑상선암 다음으로 흔히 발생하는 암으로 여성암 2위의 질환이다.

2014년도에 침윤성 유방암은 여성암의 17.6%를 차지했다.

침윤성 유방암의 경우 1999년도에는 여성인구 10만명 당 24.5명이었으나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54.5명으로 2배 이상 증가 했다.

상피내암의 경우 1999년에는 여성인구 10만명 당 1.4 명이었고, 2014년에는 10만명당 9.6명을 보였다. 이는 15년사이에 약 7배 증가한 수치이다.

남성에서 침윤성 유방암은 2013년 61명 발생했다.

2013년 남성인구 10만명당 0.2 명으로 1999년부터 2013년 까지 연퍼센트 변화율 -1.4 로 다소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군으로 분류하면 ,

여성 유방암의 경우 약 20세 이후부터 발생하여 45~49세 연령군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이후 연령 증가에 따른 발생률은 점차 감소한다.

전체적으로 발병연령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며 , 특히 2010년 이후에는 50대 이후의 유방암 환자가 늘어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남성에서의 유방암 발생은 매우 드무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방암 발생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2) 사망률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2013년 2,244 명으로 , 전체 암 사망자 중 3.0% 를 차지한다.

2013년도 우리나라 사람의 사망 원인 1위는 암이었다. 75,334명이 암을 원인으로 사망했으며, 2013년 전체 사망한 사람의 28.3%에 해당되는 수이다.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인 암은 폐암으로 전체 암 사망자의 22.8 %인 17,177명 이었으며, 다음으로는 간암 (15.1%) , 위암(12.2%), 대장암(11.0%) , 췌장암( 6.4%), 담낭 및 담도암 (5%), 유방암 (3%) 순으로 사망자가 발생했다.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1990년도에는 인구 10만명당 2.8명 이었으며, 2000년도에는 4.8명, 2010년에는 7.5명, 2013년에는 8.8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발생빈도가 갑상선암과 더불어 한국인 여성암 수위를 차지하는 점을 미루어 볼 때 다른 암에 비해 사먕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유방암 사망률은 유방암 발생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하고 있다고 추정된다.

3) 생존율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예후를 기간별 5년 상대생존율의 변화로 보았을 때 1993~1995년 유방암 발생자의 5년 상대생존률은 77.9%로 기간마다 증가하여 2009~2013년 유방암 발생자의 5녀 상대생존율은 91.5%로 무려 13.6% 증가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수술받은 환자들의 유방암 5년 전체 생존율은 91.2%이며 , 10년 생존율은 84.8%로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병기별로 5년 생존율을 비교하면 0기, 1기, 2기는 90% 넘는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3기 부터 생존율이 떨어지는 것이 뚜렷해진다. 3기 5년생존율 7.58%, 4기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