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종양 면역감시 활동의 임상적 증거 2023-01-27

https://blog.naver.com/gogngs/222996031733 

 

 

면역계의 종양 발생 감시 기능에 대한 생물학적 증거는 처음에는 동물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다.

인터페론 감마 등이 유전적으로 결핍된 마우스 모델에서 발암 화학물질 유도종양의 발생이 훨씬 현저하며 , 면역원성도 감소되어 있음이 여러 실험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사람에서도 면역결핍 또는 저하 환자에서 암 발생이 현저히 증가되는 것이 보고되어, 온전한 면역계의 기능이 암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면역저하자에서 초기에는 Kaposi육종, 비호지킨림프종, 항문 및 생식기에 발생하는 암종 등 바이러스 관련 암종의 증가만이 보고되었으나, 이후에는 바이러스감염과 관련 없는 고형암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럽에서 1964년에서 1982년까지 신장 이식을 받은 5,692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일반 인구에 비해 폐암, 대장암 , 방광암, 신장암, 요로암 등의 발생 비율이 증가하며, 특히 대장암 발생 상대 위험도는 남자의 경우 3.2배, 여자의 경우 3.9배로 알려져 있으며, 비슷한 결과가 다른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여러 번 보고된바 있다.

미국의 다른 연구들에서도 이식 환자에서 악성 흑색종의 발생이 현저히 증가되고, 특히 non-Kaposi육종의 발생도 증가함이 보고되어 , 면역 저하자에서 새로운 암 발생 또는 기존 미세 암세포의 성장이 조장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암환자에서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종양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의 증거도 면역계의 항종양 면역 감시 활동에 대한 증거이다.

종양 세포에서 발현되는 여러 단백에 대한 자발적인 선천 또는 후천 면역 반응이 유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그간 여러 기술들을 통해 밝혀진 종양 항원들은 다음과 같이 크게 5가지로 분류된다.

1) 분화 항원( differentiationAntigen): melanocyst differentiation antigen, Melan-A/MART-1, tyrosinase , gp-100

2) 돌연변이 항원 ( Mutation Antigen) : abnormal forms of p53

3) 과발현 또는 증폭 항원(Overexpressed/Amplified Antigen) : HER2/neu

4) 바이러스 항원 ( Viral Antigens) : EBV, HPV

5) Cancer-Testis(CT) Antigne : NYESO-1

항 종양 면역감시의 또 다른 증거로는 종양침윤림프구의 밀도나 질이 환자의 예후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점 등은 암 환자에서 면역 감시체계가 가동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예이다.

1기 악성 흑색종에서 종양 침윤 림프구가 중요한 예후 결정인자임을 보고한 이래로 , 난소암을 비롯한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면역세포의 침윤 정도와 성격이 예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최근에는 종양 침윤 면역세포들에 대한 성격이 좀 더 자세하게 규명되고 있어서 , 이러한 자료들이 향후 면역학적 치료법 개발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