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유방의 해부학적 구조 | 2021-03-26 |
---|---|---|
https://blog.naver.com/gogngs/222288152318
유방의 위치 : 종으로 2~3번째 늑골 과 6~7번째 늑골 사이 횡으로 흉골의 외연과 중간겨드랑선 사이에 있다. 유선 조직은 전흉벽의 표재근막과 심부근막 사이의 지방조직 내에 위치한다. 간혹 유선 조직이 겨드랑이 쪽으로 뻗어 있는데 이 부위를 스펜스 겨드랑이 꼬리 ( axillary tail of Spence ) 라고 부르며 이 부위는 임신 , 수유 시 유방과 함께 발달하기도 하고 부유두를 갖춘 부유방의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유방은 실질조직과 이를 지지해주는 지방조직과 섬유성 결체조직으로 이루어진다. 실질조직은 종말 단위인 소실(휴지기의 유방) 또는 세관(임신 -수유기의 유방) 이 모여 이루어진 소엽과 소엽 주변의 결체조직으로 구성되어 지방조직과 결체조직 사이에 분포하는 형태를 보인다. 유방을 덮고 있는 피부는 쿠퍼 인대에 의해 유선조직과 연결되어 있다. 유방과 대흉근 사이에는 유방 뒤 공간이 있다. (1) 유두-유룬 복합체와 유관계 (nipple-areola complex) 유방의 꼭지점에 위치 대략 네 번째 늑골 높이에 해당한다. 유두 - 유룬부는 외배엽에서 기원한 것으로 땀샘, 피지샘, 몽고메리 결절 (Montgomery tubercle )을 포함하고 있다. 사춘기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되어 완전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임신-수유기에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유룬부가 넓어지고 색소 침착이 증가한다. 유두에는 윤상평활근과 여러개의 감각신경 종말이 분포되어 있어 수유를 할 때 기능적으로 중용한 역할을 한다. 유두 표면에는 5~9개의 개구부가 관찰됨 유방 내에는 17~27 개의 유관계가 존재함. 유관들은 유두 내에서 서로 교통하고 여러개의 유관이 하나의 개구부를 공유한다. (2) 유방의 혈액 공급 주로 내유동맥 과 외흉동맥을 통해 이루어진다. 동맥혈의 약 60%는 내유동맥을 통해 공급되고 주로 유방의 내측과 유두를 포함한 중심부에 혈액을 공급한다. 약 30%는 외흉동맥에 의해 공급되고 주로 유방의 외측에 혈액을 공급한다. 그 박에 흉견봉동맥의 흉근 분지 , 제3~5 늑간동맥 , 견갑하동맥의 외측 분지, 흉배동맥 등도 유방의 혈액 공급에 일부 기여한다. 정맥은 대부분 동맥의 주행을 따라 액와정맥으로 유입되는데 주로 내흉정맥의 관통분지, 후늑간정맥의 관통분지 , 액와정맥의 지류 등으로 구성된다. 두개골의 기저부에서 천골에 이르기까지 척추골을 둘러싸고 있는 배트슨의 정맥 얼기가 유방의 정맥계와 연결되어 유방암이 척추골과 중추신경계로 전이되는 통로가 된다. (3) 유방 주위 근육과 신경의 구조 장흉신경 (long thoracic nerve) 은 겨드랑이의 안쪽 흉벽에 붙어서 내려가 전거근( serratus anterior muscle )을 지배 - 이 근육은 어깨를 모으고, 팔을 신전했을때 견갑골이 흉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손상시 날개견갑골 변형을 유발 할 수 있다. 흉배신경(thoracodorsal nerve)은 액와정맥 부위에서 동명의 혈관을 따라 내려가 광배근을 지배한다 - 손상시 날개 견갑골 변형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대흉근은 제 3~5늑골에서 기시하여 견갑골의 부리돌기에 정지하며 윗부분은 내흉근신경 , 아랫부분은 외흉근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소흉근은 외흉근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늑간상완신경(intercostobrachial nerve) 은 겨드랑이의 뒤쪽 경계과 위팔의 안쪽 피부의 감각을 지배하는 신경으로 , 해부학적으로 여러 개의 가지를 이루어 흉벽에서 겨드랑이를 지나 상완에 이르는 경로가 다양하다. 이때문에 수술할 때 보존하기가 어려운데 이 신경이 손상되면 환자들이 무감각 또는 이상감각등을 호소하지만 임상적으로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4) 림프절과 림프의 흐름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쇄골하 그룹(subclavicular group), 액와정맥 그룹 (axillary vein group) 견갑골 그룹 (scapula group) 중심 그룹 (central group) 외측 유방 그룹 ( external mammary group ) 림프절을 분류하는 또 다른 방법 : 소흉근을 기준으로 간편하게 세 그룹으로 나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