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두 분비물의 분류 2022-02-22

https://blog.naver.com/gogngs/222654603248 

 

임상양성에 따라 정상적인 유즙 생산 ( 수유시) , 생리적인 유두 분비 , 병적인 분비로 분류할 수 있다

1) 수유

정상적인 분비물은 젖과 초유이다.

임신기간 및 산후기에는 유선 발달 및 생리적 변화에 의해 유즙이 생산된다.

젖분비는 적어도 출산 후 6개월간 혹은 모유수유 중단 후에도 지속되기도 한다.

임신 중기 혹은 후기 여성의 20% 에서 혈성 혹은 장액혈성 유두분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보통 양성이다.

2) 생리적 유두분비물

유류증은 임신 혹은 수유와 연관이 없으면서 병적이지 않은 유두 분비로 정의한다.

유류증은 여러개의 유관에서 나오는 양측성 유두분비 양상으로 나타난다.

보통 유두분비는 양측성 및 흰색 혹은 장액성 양상이나 간혹 일측성 혹은 다양한 색상( 노란색 , 녹색, 갈색 , 회색) 을 나타낸다.

유류증은 종종 약제에 의하여 또는 내분비 종양(뇌하수체 선종), 내분비기능이상, 다양한 내과적 질환에 의해 이차성으로 고프로락틴혈증에 의해 나타난다.

가. 약제 관련 원인

흔한 원인이다.

대부분의 약물은 락토트로프 ( lactotroph) 를 자극하거나 혹은 도파민을 억제하는 약제와 관련이 있다.

흔한 약제로는 antisychotics 와 antidepressants 들이 많다

나. 신경학적 자극

신경학적 자극으로 인해 시상하부의 프로락틴 억제인자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고 프로락틴혈증 및 유류증이 생길 수 있다.

신경학적 자극으로 인한 유즙분비는 만성적인 유방자극이나 의류(브래지어) 착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개흉술후 증후근(postthoracotomy syndrome)은 흉부 수술 후 회복기간 중 유아의 젖을 빠는 효과와 유사한 상태로서 ,

프로락틴 농도 증가 , 유방통증, 유즙 분비가 동반될 수 있다.

흉부 손상의 다른 형태의 예로 화상 , 경추 손상, 대상포진에서도 비슷한 효과가 나타나며 , 간혹 따뜻한 목욕 혹은 샤워 등에 의해서도 한 두 방울의 유즙 분비가 나타날 수 있다.

신경학적 자극에 의한 유즙 분비는 자극이 없어지면 보통 소실된다.

다. 기타 원인

다양한 자극에 의해 고프로락틴혈증이 유발된다.

시상하부 및 뇌하수체 혹은 근처에서 발생하는 질병도 도파민의 분비 혹은 도파민의 시상하부로의 전달을 방해하여 고프로락틴 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외상 , 수술 , 마취 등의 스트레스 또한 도파민 분비를 억제하여 고프로락틴혈증 및 유류증을 유발한다.

3)병적인 유두 분비물

젖 이외 기타 분비물은 유방의 병적인 원인과 연관이 있다.

분비양상은 보통 일측성유방 , 단일 유관에 국한되어 있고 지속적이며 자발적이다.

장액성, 혈성, 혹은 장액혈성으로 분비될 수 있다.

병적인 유두분비의 가장 흔한 원인은 관내유두종이며, 52~57%를 차지한다.

유두종은 유두모양으로 유관벽을 따라 자라는 종양이며,

단일 유두종은 이형성 혹은 유관상피내암종을 내재하기도 한다.

유두종의 표준 치료방법은 중심 침생검으로 진단되는 경우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다.

이 외 병적인 유두분비 들은 유관확장 혹은 다른 양성 변화에 의한다.

악성 종양은 병적인 유두분비의 5~15%를 차지한다.

유두 분비와 연관된 가장 흔한 악성종양은 유관상피내암종이다.

진단 당서 연령은 유두분비를 동반한 여성에서 악성 위험의 예측 인자이다.

악성종양은 40세 미만 여성의 3%, 40~60세 사이 여성의 10%, 60세 이상 여성의 32%에서 보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