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신과 수유 중의 비감염성 유방 질환 2022-06-24

https://blog.naver.com/gogngs/222787033038 

 

 

1) 양성 질환

임신이나 수유 중에 발견된 대부분의 유방 종물들은 섬유선종 , 과오종 등의 양성 질환들이다.

임신 전부터 존재한 경우도 흔하다.

임신이 아닌 여성에서 나타나는 모든 종류의 유방 종물 들이 임신 중 또는 분만 직후에 나타날 수 있다.

수유선종(lactating adenoma) 은 임신과 수유 중에 가장 흔히 발견되는 유방 종물이며,

유방 선종과 유선증식증 그리고 임신 관련 호르몬들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수유선종에서는 출혈이나 경색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의심스러운 경우 확인을 위해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수유 선종은 수유가 끝난 후에는 사라지게 된다.

유선낭포( galactocele)는 모유가 모여있는 낭종으로 ,

수유 중 유관 폐색 때문에 발생한다.

증상이 없는 유선낭포는 특별한 처치 없이 경과를 지켜볼 수 있다.

통증을 유발 하는 경우에는 얼음주머니 사용이나 주사기를 이용한 흡인으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감염된 경우에는 흡인 또는 배농과 함께 항생제 사용이 필요하다.

임신 또는 수유 중 종물 형성의 다른 원인들은 국소 유방경색 , 섬유선종, 지방종, 유두종 등의 양성 병변 들이 있으며 유방암과 감별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 유의하여야 한다.

임신 또는 수유 중의 혈성 유두분비는 대부분 유방암과 관계가 없다.

특히 혈성 유두 분비가 복수의 유관에서 나타나는 경우에 그러하다.

제2 및 제 3분기 임신 기간 중에 나타나는 혈성 유두분비는 대부분 세포 증식이나 혈관 신생에 의한 것이다.

감별진단을 위한 유두 분비물의 세포학적 검사느 정확도가 낮아서 많은 경우에서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런 때에는 초음파 검사 , 유방 촬영 또는 유관 촬영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관절제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2)악성 질환

임신 관련 유방암은 임신중 또는 분만 후 1년 이내 발견된 유방암을 의미한다.

임신 중에 동반된 유방암은 임신에 따른 유방의 변화 때문에 발견이 어려워져서 유방암의 진단이 지연되는 경우가 흔하다.

임신 또는 수유중의 유방암 영상 검사는 유방초음파 검사가 유용하다.

임신 중에 발견된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과 항암제 치료를 한다.

임신 첫 3분기에는 기형이나 사산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항암제 치료는 시행하지 않는다.

임신 제 2 삼분기 이후에는 다수의 항암 약물들을 수술 전후에 비교적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임신 중절은 진행이 매우 빠른 유방암의 경우에는 고려할 수 있으나 흔하지 않으며,

유방암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와 tamoxifen 투여는 분만 후에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