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갑상선 진찰 2019-05-07

https://blog.naver.com/gogngs/221531678064

 

 

 

1. 갑상선의 해부학적 위치

갑상선종은 갑상선 종대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해부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갑상선 자체에 대한 진찰이 필요하다.

갑상선은 주위 조직과 유착된 섬유성 막으로 싸여 있으며, 그 피막은 기관전근막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이나 물을 삼킬때 갑상선은 후두조직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인다.

2. 시진

조명이 좋은 곳에서 환자를 앉히고 목을 약간 젖힌 상태에서 관찰 한다.

환자의 정면과 측면에서 환자의 목을 관찰한다.

목에 수술 흔적이 있는지 여부

경정맥의 종창 여부

경동맥의 맥동 여부

종괴가 있는지

목의 피부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종괴가 관찰되는 경우

종괴의 위치와 기관츼 위치를 확인하고 환자가 물을 삼킬때 종괴가 아래위로 움직이면 갑상선종으로 판단 할 수 있다.  하지만 갑상선종이 매우 커서 목 전면을 다 차지 하거나 또는 주위 조직과 유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3. 촉진

환자의 앞에서 하는 방법과 환자의 뒤에서 촉진하는 방법이 있다.

1) 앞에서 촉진하는 방법

갑상선 연골 아래에 있는 윤상연골의 위치를 확인하여 갑상선 협부를 확인한다.

환자의 머리를 약간 앞으로 숙이게 하고 동시에 우측으로 기울이도록 한다.

진찰자의 오른손 엄지로 환자의 갑상선 연골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밀고, 왼쪽 검지와 중지로는 오른쪽 흉쇄유돌근의 뒤쪽에서 앞으로 밀면서 왼쪽 엄지로 갑상선 우엽을 만진다

반대편 갑상선 엽은 좌우의 손을 바꾸어서 같은 방법으로 만지면된다.

2) 뒤에서 촉진하는 방법

갑상선의 협부를 환인한후 양손의 검지와 중지로 좌우 엽을 만진다.

갑상선 우엽을 만질 때는 환자로 하여금 머리를 약간 앞으로 숙이면서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이도록 한다.

진찰자의 왼쪽 검지와 중지로 갑상선 연골을 오른쪽으로 밀면서 오른쪽 엄지로 흉쇄유돌근의 뒤쪽을 앞으로 밀고 오른쪽 검지와 중지로 갑상선 우엽의 전면을 만진다.

반대편 갑상선엽은 좌우의 손을 바꾸어서 같은 방법으로 만지면 된다.

4. 청진

갑상선에서 수축기 혹은 수축기부터 이완기까지 잡음이 들리면 갑상선의 혈류량이 중가한 상태 , 즉 갑상선 기능 항진증 일 수 있다.

5. 위양성 및 위음성 갑상선종

실제로는 갑상선종이 없는데도 갑상선종으로 오인되는 경우에 주의한다.

- 마른 사람에서 정상 갑상선이 만져지는 경우

- 갑상선이 보통 위치보다 위에 있어 뚜렷하게 보이는 경우

- 목이 해부학적으로 변형되어서 즉 목이 길고 구부러져 있어서 갑상선이 뚜렷하게 보이는 경우

- 목의 전면 또는 측면에 지방이 뭉쳐서 갑상선처럼 보이거나 만져지는 경우

- 갑상선 뒤쪽에 병변이 있어 갑상선을 앞으로 밀고 있을때

-  갑상선 주위의 조직이 붓은 경우

갑상선종이 있는데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

- 진찰이 정확하지 못한 경우

- 목이 짧고 두꺼운 경우 갑상선이 가려져서  잘 만져지지 않는다.

Copyright © 2017 BY GANGNAM GREAT SURGER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