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 치료 - 전이성 유방암 모니터링 2019-01-21

https://blog.naver.com/gogngs/221444938695

 

 

 

광명시 소하동 유방 갑상선 전문 의원 강남외과 입니다.

전이성 유방암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현재 하고 있는 치료가 환자에게 효과적인지 아니면 독성만 증가시키는를 평가해야 한다.

평가를 위해서는 환자의 증상 과  병의 경과를 동시에 평가한다.  이를 위해서 환자의 다양한 증상에 대한 정기적인 평가, 신체 검사 , 정기적인 혈액검사및 영상검사 , 종양 표지자 검사등이 포함된다.

평가 결과는 치료에 반응하는 경우, 치료효과가 계속 유지되는 경우 , 안정적인 경우, 질병상태가 확실하지 않은 경우, 질병이 진행하는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질병 진행의 정의

이전에 병이 있던 곳에서 병이 커졌거나 상태가 악화되는 것  그리고 새로운 자리에 병이 발생했을 때로 정의 할수 있다.

질병 진행을 시사하는 징후들

1. 통증과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의 악화

2.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

3. 예상치 못한 체중 감소

4. AST, ALT, ALP , bilirubin의 증가

5. 고칼슘혈증

6. 새로운 병변 발생 또는 병변의 크기 증가

7. 종양표지자(CEA, CA15-3, CA27,29)의 증가

치료의 결과(반응/안정/진행)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

질병의 활성도에 대한 가장 정확한 평가는 기존의 병변에 대해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측정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인 원칙은같은 검사도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병변을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흉부 CT로 발견된 병변은 같은 흉부CT를 반복 시행하여 평가해야 한다.

모니터링의 간격

모니터링의 주기는 질병 진행을 발견할 수 있으면서도 비효율적인 치료로 인한 독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간격사이에서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 다음의 표에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 이는 병의 위치, 생물학적 특징, 치료기간 등의 개별 환자별 요인을 고려하여 변형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떤 증상과 징후가 새롭게 나타나거나 악화되는 경우 , 이전 검사 후 시간 간격이 얼마나 되었는지에 상관 없이 즉각적으로 재평가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