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중심부침생검 2021-06-29

https://blog.naver.com/gogngs/222414029814 

 

 

유방 종괴의 진단을 위한 조직검사 방법 중에 가장 선호하는 표준적인 방법

세침흡인생검에 비하여 불편하고 , 비용이 좀 더 들지만 , 절개 , 절제 생검보다 덜 침습적이면서 한번의 검사로 충분한 양의 조직을 얻을 수 있고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 유방암의 아형 또는 침윤여부르 용이하게 알 수 있어 최근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촉지되는 종괴 뿐만이 아니라 유방촬영 , 초음파 검사 또는 MRI 등의 영상에서만 보이고 촉지되지 않는 병변에 대하여 영상 유도하에 조직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병변이 다발성인 겨우 동시에 여러 곳을 검사할 수 있다.

조직 진단이기 때문에 판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세침흡인 세포검사 보다 용이하게 호르몬 수용체 등의 생물학적 표지자를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소마취가 필요하다

출혈이나 통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약 75~97% 민감도 와 95~100 % 특이도, 2~6% 의 위음성률 및 67~98% 의 진단적 정확도를 보인다.

위음성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종괴의 크기와 병리조직학적 특징 또는 바늘 굵기와 생검 횟수 등이 있다.

침생검의 방법:

14 gauge needle 이 달린 biopsy gun을 이용한다

먼저 바늘이 들어갈 부위를 소독, 국소마취한 후 검사를 시행한다.

바늘은 흉벽에 수평으로 삽입하여 흉벽이나 폐를 찌르지 않도록 한다.

채취한 조직은 포르말린에 포매하고 H-E 염색을 시행한다.

충분한 양을 얻기 위해 최소 2회 이상 반복한다.

출혈 방지를 위해 상처 부위를 압박한다.

요즘에는 좀 더 많은 조직을 얻기 위해 진공보조 유방 생검을 시행하기도 한다.

중심부침생검에서 관상피내암으로 진단된 경우의 약 10~20% 에서 수술 후 침윤암이 발견된다.

비정형 상피세포 증식증 (ADH) , 또는 세포성 섬유선종 ( cellular fibroadenoma) , 영상에서는 유방암을 의심하는데 조지검사 결과는 정상 또는 양성질환 일때 절제 생검과 같은 수술적인 조직검사 방법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