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태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진단 2020-11-20

https://blog.naver.com/gogngs/222149655093

 

 

치료가 필요한 태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은 드물다. 임신의 0.01%이하

그레이브스병의 과거력이 있거나 현재 앓고 있는 산모에서는 태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의 가능성을 생각해야한다.

태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성장 지연, 태아빈맥, 태아 갑상선종, 태아 hydrops, 조산 및 사산과 관련이 있다.

진단은 태아빈맥, 성장지연, 태아 갑상선종, 태아 심부전, 태아 hydrops 의 소견이 있으면 의심할 수 있다.

태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이 의심되면 일단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만약 확진이 필요하면 제대혈을 채취하여 태아 갑상선호르몬을 측정해야 하는데 태아에게 위험이 된다.

진단 당시의 임신 시기에 따라 다르지만 만약 임상 소견만으로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거나 태아 갑상선호르몬에 관한 정보에 따라 치료 방법이 변경되는 경우라면 태아의 제대혈 채취가 필요하다.

증상이 있는 신생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즉시 치료한다.

신생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주로 모에 TSH수용체 항체의 태반 통과에 의하지만 TSH수용체 또는 G-단백의 돌연변이나 신생아에서 자체 발생한 그레이브스병의 가능성을 감별해야 한다.

임신 중 TSH  수용체 항체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과거 임신 중에 태아 또는 신생아 갑상선기능항진증의 병력이 있는 경우

활동성 그레이브스병 환자로 항갑상선제 치료중인 임산부

과거에 방사성 요오드 치료 병력이 있는 환자

항갑상선제 치료 후 관해 상태에 있는 환자

임신 중에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환자

태아 빈맥 , 초음파 검사에서 우연히 태아 갑상선종이 발견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