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 줄기세포와 상피-간엽 전환과의 관련 2023-04-04

https://blog.naver.com/gogngs/223064428178 

 

상피-간엽 전환(EMT)은 발달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세포 간 연결이 단단하고 극성을 가진 상피세포가 이동성이 높은 간엽세포로 전환되는 현상이다.

정상 배아 발달 과정에서 EMT는 세포간 연결을 느슨하게 하여 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다수의 세포를 필요로 하는 기관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정상 성체 조직에서 EMT는 창상 복구 , 조직 재생 과정에서 활성화되고 , EMT 과정의 조절 장애가 발생하면 기관 섬유화 혹은 조직 파괴 등의 병적인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암세포는 EM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이에 필요한 세포 이동성과 주변 조직 침투성을 획득할 수 있다.

Mani 등(2008)은 사람의 불멸화된 유방 상피세포에서 상피-간엽 전환을 유발하는 전사 인자인 twist 또는 snail을 발현시킨 결과 세포는 중간엽의 성질을 획득하고, 줄기세포 표지자의 발현이 증가하고, mammosphere를 형성하는 능력이 증가되었으며, 역으로 불멸화한 사람의 유방 상피세포에서 분리한 줄기세포가 상피-간엽 전환 표지자를 발현함을 보임으로써 상피-간엽 전환과 줄기세포 특성 간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제시한 바 있다.

상피-간엽 전환은 TGF-beta1, hepatocyte growth factor, PDGF 와 같은 성장인자 뿐 아니라 전사인자인 Goosecoid, Snail, Slug, Twist, FOXC1, FOXC2, Zeb1,Sip1 등에 의해서도 유발되는데 이러한 전사 인자로 유발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유사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유전자의 발현이 claudin-low 또는 화생성 유방암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었다.

Scheel등 (2012)은 Twist, Snail, Slug, ZEB1 등의 전사인자들이 EMT를 조절하여 암 전이의 초기 단계를 가능하게 하고 , 육안적으로 확연한 암 전이는 암 세포가 전이 조직의 미세환경에서의 적응 가능한 능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암 줄기세포의 특성인 자기재생과 관련이 있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EMT 프로그램 활성을 통해 비 암 줄기세포가 암 줄기세포를 생성할 수 있고, 이러한 가변성은 암 줄기세포를 표적하는 치료 전략을 선택할 때 종양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주장하였다.

Ye 등(2015) 은 정상 유방 기저막층에 위치하는 정상 유방 줄기세포와 관내강 층에서 유래한 유방암 줄기세포는 EMT-전사인자로 각각Slug 와 Snail을 이용하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정상 줄기세포와 암 줄기세포에 작동하는 EMT 세부 프로그램이 서로 상이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