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임신과 수유 중의 감염성 유방질환 2022-06-21

https://blog.naver.com/gogngs/222782367429 

 

염증 발생과 감염은 임신 중에 유방에서 가장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며,

이런 경우 모유는 세균 증식에 유리한 세균 배지로 작용하게 된다.

잘못된 수유 방법이나 수유 횟수가 너무 적은 경우 , 그리고 유관이 막힌 경우 등 과 같이 수유가 효과적이지 못한 때에는 유방의 모유 정체가 나타난다.

모유 정체는 세균의 침입, 증식 및 확산으로 이어지고 발열 , 발적 , 압통을 동반한 유선염으로 발전되어 농양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모유 정체를 예방하고 , 유선염 호전을 위해서는 수유 후에 남은 모유를 잘 짜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수유의 자세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두의 갈라짐이 나타나며 , 이를 통해 세균이 침입하면 유선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유선염에는 Staphylococcus aureus 가 가장 흔한 원인 균이며 경구용 항생제에도 비교적 잘 반응한다.

유선염의 자주 발생하는 위험 인자는 고령 엄마의 수유, 출산 경험이 적은 경우, 정상 수유가 어려운 유방 조건 및 가정 밖 수유인 경우 등이다.

유선염과 유방 농양 등이 항생제 사용 후에도 호전되지 않으면 다른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유방 염증이 호전되지 않으면 유방 부위 피부 또는 유방 실질 조직에 대한 병리학적 검사로 염증성 유방암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초음파검사는 유방 농양 확인과 초음파영상 유도로 농양의 흡입 제거에 도움을 준다.

흡입된 농은 반드시 세균 배양하여 항생제 선택에 참고한다.

오염된 모유 흡입으로 인한 유아의 위험에도 불구하고 , WHO에서는 유방 농양 치료 때문에 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고 발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