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의 섬유선종 2018-03-27

https://blog.naver.com/gogngs/221238307231

 

유방의 섬유 선종은 양성 유방 종양중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것입니다. 대다수는 15~ 35세 사이에 발생합니다. 
호르몬 의존도가 있어서 생리 주기동안 크기가 변할 수 있습니다.  임신중 크기가 증가 하기도 하고, 폐경후에는 작아지기도 합니다.  경구 피임약이나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섬유선종에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잘 움직이는 종양으로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 할 수 있습니다. 

섬유선종의 변종들 
1. 20 %의 경우에 섬유선종은 다발성으로 한쪽유방이나 양측에 발생 할 수 있습니다. 
2. 거대 섬유선종 은 직경이 10 cm 이상인 경우로 수술로 제거 해야 합니다. 
3. juvenile fibroadenoma (  청소년형 섬유선종) 은  좀더 많은 기질 세포와 샘조직을 가지고 있으며, 18세 이하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치료는 제거 입니다. 
4. 복합성 섬유선종 은 순수 섬유선종이 아니고 다른 증식성 병변이 함께 있는 경우 입니다.  치료는 완전히 절제해서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섬유선종은 암의 위험이 없습니다. 크기가 작은 경우 정기적인 추적관찰을 할 수 있습니다. 크기가 큰경우에는 제거 합니다. 변종들도 1번을 제외하고는 제거 합니다. 

A: MRI 사진. , B: 병리 사진



아산병원 자료가 정리된게 있어서 아래쪽에 복사 합니다 . 참고 하세요.

정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젖을 분비하는 유선 말단부위의 과다한 증식과 이에 따른 유방조직의 변형 때문에 생긴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섬유선종은 거대 섬유선종, 연소성 섬유선종 등이 있습니다. 거대 섬유선종은 5cm 이상의 커다란 종괴로 나타나며, 대개 임신, 수유부에게서 나타납니다. 연소성 섬유선종은 사춘기 여성에게 발생해 갑자기 크기가 커져 피부의 변형을 초래하고 정맥들이 돌출됩니다.

원인
젊은 여성, 특히 20대 초반에서 30세의 젊은 여성에게 발생하며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반응에 의하여 생기는 조직 이상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은 모릅니다.
증상
경계가 분명하고 딱딱한 고무 같은 멍울이 만져지며, 유방 내에서 잘 움직이고, 대개 통증은 없으며 월경 주기에 따라 그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기도 합니다. 처음에는 만져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유선조직에 묻혀 있다가 커지게 되면 6~12개월 만에 갑자기 2배 이상으로 커지기도 합니다. 1년간 관찰했을 때 12~16%에서는 혹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없어지기도 합니다. 대부분 혹이 1~3cm의 크기에서 멈추지만  4~5cm 이상으로 커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춘기나 임신 기간, 폐경기 때는 다소 빨리 커질 수도 있습니다. 주로 하나가 생기지만 여러 개가 생길 수도 있고 때로는 아주 큰 덩어리로 발견되기도 합니다. 유방의 피부는 함몰되거나 변형되지는 않습니다.

진단
유방촬영술, 유방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지만, 최종적인 확진을 위하여 조직을 절제한 후 조직검사를 시행합니다.

치료
섬유선종은 평소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주기적인 검진만 시행합니다. 섬유선종을 그대로 놓아두면 암으로 발전하지는 않지만, 섬유선종으로 의심되는 덩어리가 계속 커지면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는 암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떼어낸 덩어리로 조직검사를 해서 확실한 진단을 내리는 것이 필요하고, 커진 후에 제거하면 상처가 크게 남습니다. 그리고 드물기는 하지만 0.1~0.3%로는 섬유선종 내에 암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40대 이후에 섬유선종으로 의심되는 혹이 발견될 경우 바로 제거하여 조직검사를 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