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암-뇌전이 2023-01-14

https://blog.naver.com/gogngs/222983966118 

 

 

 

원발암의 뇌 전이 발생률은 대략 8.5%~9.6%

뇌전이로 진단된 환자의 13~20%는 유방암이 원발암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는 폐암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경우이다.

전이 유방암 환자의 10~15%에서 뇌전이가 발견되며 , 젊은 나이 및 미국 아프리카계 인종에서 뇌 전이의 위험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 수용체 음성 또는 HER2 양성인경우 , BRCA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경우에 뇌전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삼중음성유방암의 뇌전이 5년 발생률은 7.4%로 luminal A 유방암의 0.1%에 비해 높았다.

일반적으로 뇌 전이가 진단된 후 생존기간의 중간값은 4~6개월 정도이나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 기간을 연장했다는 보고도 많이 나오고 있다.

전이성 삼중음성유방암환자의 25~46%는 뇌전이가 발생하였으며, 뇌전이가 발생하는 평균기간은 호르몬수용체 양성 및 HER2 음성인 환자보다 더 짧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뇌전이가 발생할 경우 , 신경학적 증상이 새로 생기거나 양측 전두엽의 침범으로 인해 반 이상의 환자에서 두통을 호소할 수 있다.

침범한 뇌 위치에 따라 인지장애, 기억력 장애, 기분장애, 인격장애 등 다양한 임상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뇌의 해부학적인 특징은 혈액뇌장벽인데 , 이는 모세혈관내피세포가 서로 단단한 이음으로 연결되어 틈새가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유해물질로부터 뇌를 보호한다.

혈액뇌장벽은 암세포가 뇌로 전이되는 것에 대한 장벽으로도 작용하지만 항암제에 대한 물리적 장벽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