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방사형 반흔 (radial scar ) 2021-10-29

https://blog.naver.com/gogngs/222552571449 

 

 

 

 

 

radial scar ( 방사형반흔) 은 섬유경화성 간질을 중심으로 관과 소엽이 바람개비 날개처럼 방사형으로 뻗치는 구조를 보이는 병변이다.

소엽과 관은 선증 , 상피증식, 낭, 유두종 등 다양한 증식 소견을 보이며 아포크린화생과 석회화가 동반될 수 있다.

섬유성 중심핵( central nidus)과 방사형 구조가 잘 형성되지 않고 , 섬유 탄성 간질에 변형된 관과 소엽들이 흩어져 다양한 증식형 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를 복합경화성 병변 ( complex sclerosing lesion ) 이라고 한다.

방사형반흔은 우현히 발견되거나 유방촬영술에서 침윤성 암종과 유사한 종괴로 나타나기도 한다.

병변의 중심부인 섬유경화성 간질에 눌리거나 찌그러지고 변형된 소수의 관구조들이 관찰되는데 조직학적으로 침윤성 암종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근상피세포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 방사형반흔으로 진단하는데 중요하며 , 근상피세포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일부 관구조에서는 근상피세포층이 없거나 종종 감소되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방사형반흔이나 복합경화병변의 관이나 소엽상피세포는 한층으로 나타나거나 UDH, ADH, ALH, DCIS , 또는 LCIS 등 다양한 소견을 보일 수 있다.

상피내암종이 동반되었을 때 섬유경화성 간질과 변형된 구조 등으로 인해 침윤성 암종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세포밀도가 낮은 섬유성 또는 섬유탄성 간질은 침윤성 암종에서도 관찰할 수 있지만 , 항상 양성 경화성병변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판독한다면 정확한 진단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방사형반흔의 유방암 발생위험도에 관해서는 논란이 있다.

방사형반흔 자체의 유방암 발생위험도가 2배라는 보고도 있고 , 동반된 증식성병변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침생검에서 방사형반흔이 관찰되었을 때 외과적 절제에서 더 심한 병변이 보고된 빈도가 높았기 때문에 그동안 외과적 절제가 권고되었다.

최근 단일 기관 연구결과를 보면 침생검에서 비정형을 동반하지 않은 방사형반흔 환자가 외과적 절제를 시행했을 때 0.9%에서 유방암이 발견되었고, 20%에서 ADH , 5.9%에서 소엽상피종양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빈도는 나이 증가와 관련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저자들은 침생검에서 방사형반흔이 발견되면 절제 검체에서 유방암의 발견되는 빈도가 낮으므로 , 외과적 절제보다는 유방조영술을 정기적으로 시행하면서 추저관찰 할 것을 권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