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산모 갑상선기능 1 2020-10-20

https://blog.naver.com/gogngs/222121054963

 

 

1. 정상 임신에서의 갑상선기능 조절

1) 요오드 대사 및 방사성요오드섭취율

임신 중에는 신혈류량과 사구체여과율의 증가로 인해 요오드의 신청소율이 증가하고 , 요중 요오드 배설이 증가한다.

이러한 변화는 임신 초기부터 시작하여 출산까지 지속된다.

그 결과 혈중 요오드 농도가 감소하고 , 이에 대한 보상작용으로 갑상선의 요오드 섭취는 증가한다.

모체의 혈중 요오드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 공급됨으로서 모체의 요오드 손실이 초래되는데 , 주로 임신 후반기에 일어난다.

요오드 섭취량이 충분한 지역에서는 임신 당시 갑상선 안에 충분한 양의 요오드가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임신 중 혈중 요오드량이 감소되어도 요오드 결핍에 의한 갑상선종은 발생하지 않는다.

요오드 섭취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임신 중에 혈중 요오드 감소로 인한 갑상선종이 나타날 수 있다.

2) 사람융모성선자극호르몬 (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hCG) 의 갑상선자극 효과

혈청 TSH 는 전 임신 기간 동안 정상 범위를 유지하지만 임신 시기에 따라 유의한 변화를 보인다.

임신초기에는 hCG의 증가로 인해 혈청 유리 T4 는 증가하고 , 혈청 TSH는 감소한다.

임신 8~14주 경에 hCG 가 최고치에 도달하면 혈청 TSH는 정상의 하한선으로 감소한다. 정상 임산부의 약 20%는 일시적으로 혈청 TSH 가 정상 이하로 감소한다.

hCG 의 알파 아단위는 TSH 와 동일함으로 그 양이 많은 경우 갑상선 자극 효과를 나타낸다.

hCG 는 정상 임신에서 갑상선자극제로 작용한다.

임신 중기 이후부터 분만 전까지 혈청 TSH는 정상 범위 안에서 약간 증가하는데 , 요오드 섭취량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요오드 섭취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임신 후반 특히 출산 직전에는 유의하게 증가한다.

요오드 섭취량이 충분한 지역에서는 임신 초기에 감소하였던 TSH가 중기 이후 약간 증가하여 출산까지 변화 없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3) 혈청 갑상선호르몬 및 티록신결합글로불린

임신 중에는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해 TBG 가 증가하여 혈청 총 T3 와 T4 를 증가시킨다.

TBG는 임신 초기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임신 16~20주까지 계속 증가하며, 정상의 약 2.5 배에 달한다. 이후 출산까지 높은 양을 유지한다.

출산 후에 TBG 는 급격하게 감소되어 4~6 주경에 정상화된다. 이에 따라 혈청 T3 , T4도 정상 범위로 환원된다.

TBG 의 증가 때문에 혈청 총 T3 , T4는 증가하지만 TBG  증가만큼 비례하여 증가하지는 않는다.

혈청 총 T4 는 임신초기 , 6~12주에 급격히 증가하고 이어서 서서히 증가하여 임신 중기 , 20주에 최고에 도달한다.

한편 총 .T3 는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T3/T4 당량 비는 임신중에 변화하지 않는다.

혈청 Tg 는 임신 초기부터 증가하지만 , 주로 임신 후기 특히 출산 직전에 현저히 증가한다.

4) 갑상선호르몬의 말초 대사

임신 중에는 갑상선호르몬 대사에 변화가 일어나는데 주로 임신 중기 이후에 현저하다.

태반에는 제 3형 탈요오드효소가 다량 존재하는데 이 효소는 T4 를 rT3 로 , T3 를 T3 로 전환시킨다. 그 결과 양수 안의 rT3 농도가 높아지며 산모의 T4 농도와 비례한다.

산모 T4 의 말초 대사가 증가되고 , 이를 보상하기 위해 갑상선기능이 자극된다.

제 3형 탈요오드효소는 요오드티로닌의 탈요오드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태아한테 요오드를 공급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