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 02-898-6075,강남외과의원,광명,소하동,유방,갑상선,조직검사,맘모톰,초음파,종양제거수술,부유방절제술,유선염,화상,비타민주사

원장칼럼

제목 유방의 발생 2021-03-23

https://blog.naver.com/gogngs/222284825184

 

 

 

 

유방은 외배엽 조직에서 발생한 피부 부속 기관

유선(mammary gland )과 이를 지지하는 섬유지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선은 발생학적으로 외분비땀샘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때 유즙을 생산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변형된 부분분비샘( apocrine gland)  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생후 4~5주경 배아의 네 번째 늑간 공간에 해당하는 흉벽에서 유방 능선(mammary ridge) 이 발생하여 유선싹( mammary bud)을 형성

생후 12주에 이르기까지 1차 유선싹은 겨드랑이에서 서혜부 쪽을 향해 흉벽을 따라 자라 내려가면서 유선 소엽(mammary lobule)을 형성

생후 12~16 주경에 중간엽세포(mesenchymal cell)들이 유두와 유룬의 평활근으로 분화되고 ,장차 분비 소실(secretory alveoli)로 분화될 상피세포싹이 증식되고 분지를 형성하여 2차 유선싹을 형성하게 된다.

2차 유선싹들이 발달하면서 피지샘(sebaceous gland), 땀샘, 모공 등도 같이 발생한다.

임신 3기에 모체의 호르몬이 유입되면서 분지된 상피세포에 관형성(canalization)을 일으켜 15~25개의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자한 구조의 유관계(lactiferous ductal system)가 형성된다.

생후 32~40주에 유두-유룬 복합체가 형성

출생 시에 유두 주변의 결체조직과 피지샘의 증식으로 인해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유두가 밖으로 돌출하지 못하고 내번(inversion)된 상태로 있는 경우가 있는데 대개 유전적이며 저형성된 유관계 내에 유두가 갇힘으로써 발생한다.

유방 능선은 중간액와선(midaxillary line)상의 네 번째 늑간 공간에 해당하는 부위에 한 쌍만이 남고 퇴화한다.

일부 여성 (2~6%) 에서 유즙 능선이 완전히 소멸되지 않아 겨드랑이에 유선조직이 남게 되어 부유방이나 부유두(accessory nipple)의 형태로 남기도 한다.

출생후 4~7일에 남녀 신생아는 유두에서 초유(colostrum)또는 마유(witch's milk) 라고 부르는 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이것은 일시적인 변화로 태반을 통해 모체의 성호르몬이 태아 혈액으로 들어가 나타나는 현상으로 약 1개월 내에 사라진다.

출생 후 모체로부터의 호르몬 유입이 끊기면 유선의 발달은 사춘기까지 휴지 상태에 들어간다.